2016년 3월 24일 목요일

(방통대 2016-1)‘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방통대 2016-1)‘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고전소설강독]-잡지_문장과_문장파_.hwp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전’의 가치에 깊이 천착했던 잡지『문장』
Ⅲ. 잡지『문장』파 예술가들이 추구한 상고주의와 전통적 민족주의
1.『문장』파의 상고주의
2.『문장』파의 전통적 민족주의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
Ⅰ. 머리말

1940년을 전후하여 일제의 강압적 통치가 더욱 강화되면서 조선어 말살 정책과 내선일체, 황국신민화라는 시대적 압력 속에서 1930년대 말과 1940년대 초의 문단 상황은 우리말로 문학한다는 것 자체가 곧 민족성의 존립 여부로 직결되는 극한적인 상태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말로 된 문학작품은 창작 및 발표가 점차 어렵게 되면서 우리 문학은 어쩔 수 없는 암흑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작가들은 아예 절필을 하였고, 일부는 일제에 대해 체제협력적인 시를 쓰기도 하였다. 이러한 암흑기 속에서도 우리 문단에서는 잡지『문장』과『인문평론』등을 중심으로 한 민족성의 모색이 이루어졌다.
그 중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문장』을 통해 『문장』파 예술가들이 추구한 상고주의와 전통적 민족주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김영실, 「『문장』파 문학의 고전 수용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김용직, 「『문장』과 문장파의 의식성향 고찰」, 『선청어문』제23집, 1995.
김진희,「전지용의 후기시와『문장』-화단과 문단의 교류를 중심으로」, 『비평문 학』제33집, 2009.
김현숙, 「김용준과『문장』의 신문인화 운동」, 『미술사 연구』16호, 2002.
박영태, 「김환기의 백자 항아리 그림과『문장』지의 상고주의」, 『우리문학연 구』제30집, 2010.
박태상,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2010.
배개화,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현대소설연구』제21집, 2004.
윤시현, 「이태준 문장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이명희, 「『문장』이 보여준 전통의 의미와 의의」, 『상허학보』제4집, 1998.11.
이봉범, 「잡지『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연구』제22집, 2007.
장부일, 조남철, 이상진 공저, 『한국 근현대 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1.
정주아, 「『문장』지에 나타난 ‘고전’의 의미 고찰」, 『규장각』제31집, 2007.
최경숙, 「정지용시의 전통지향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황종연, 「『문장』파 문학의 정신사적 성격」, 『동아어문논집』제21집, 1986.
박태상,

하고 싶은 말
- 국어국문학과 3학년 고전소설강독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고전소설강독, 고전, 문장파, 상고주의, 전통적민주주의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